1. 조명의 방향
1 정면광 : 산뜻하고 깨끗한 느낌을 준다 그러나 지나치게 평면적인 경향이 있으므로 입체감이 없다.
2 사 광 : 가장 보편적이고 약 45도 정도의 각도에서 빛을 쏘아줌 으로써 입체감이 생기기 시작한다.
3 측면광 : 극단적인 콘트라스트가 생긴다 강한 입체감
4 반역광 : 배경과 분리감을 준다
* 입체감은 사광 역광 측면광 반역광만 생긴다.
5 역 광 : 광원이 피사체의 반대편에 있으며 피사체의 대부분은 섀도우로 채워지며 실루엣 형태만 나타난다.
6 탑라이트 : 머리위에서 쏘는 빛
7 언더라이트 : 눈 높이 아래에있는빛으로 특수한 상황 아니면 사용치 않으며 거부반응이 생긴다
2. 조명의 역활(중요함)
1 main light : 이미지를 결정짖는 조명으로 key light 라고도 한다(보통 사광을 많이 쓴다)
2 fill light : 조명비를 결정짖는 조명으로 보통 카메라 바디와 같은방향(정면광)에서 은은하게 비쳐주기도 한다
3 effect light : 강조나 입체감을 표현하는데 사용하며 헤어라이트(머리위 약간뒤쪽)
에지라이트(어깨쪽으로 떨어지며 배경과 분리감을 준다) 와 같은 빛을 말한다
3. 외장형 플래쉬
광량을 나타내는 수치
가이드넘버 = 거리 X 조리개 수치
GN = r X f
예) 40 = 5m X f8 <--- 요런 가이드 넘버가 있다고 하자.
해석하면 5m 에 피사체를 놓고 플래쉬를 터트렸을때 f8에서 가이드넘버가 40이다.
즉 다시말하면 GN 값이 높은 플래쉬일수록 많은 광량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수 있다
하지만 무조건 좋은것만은 아니다 접사나 아주 약한빛이 필요할 경우도 고려해 보아야한다
4. 바운스
1 천정바운스 : 머리는 밝고 아래는 어두운 단점이 있다
2 벽면바운스 : 창에서 빛이들어오는 느낌으로 자연스럽고 입체감이 있다
3 바운스 카드 : 눈에 캣치아이(눈동자 사이에 흰색점을 만들어 생동감있게)를 만든다 - 천정 바운스시 사용
4 디퓨전 돔 혹은 옴니바운스라고 함 : 직광일때 크게 효과가 없으며 전체적으로 고르게 빛을 흘러가도록함
5. 지속광과 섬광
1 조리개는 지속광과 섬광이 같이 밝아지며 어두워진다
2 셔터는 지속광만 조절하며 섬광은 조절하지 못한다
'Photo기초상식 주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빛의 온도에 따른 색의 변화 (0) | 2008.11.05 |
---|---|
니콘 마운트 렌즈 별명들 (0) | 2008.09.09 |
셔터속도에 따른 흐름비교.. (0) | 2008.09.08 |
파노라마 따라하기... (0) | 2008.08.27 |
R . G . B , 기본... (0) | 2008.08.25 |